★ 축문 만드는 법
축문은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한지에 붓으로 내려쓰는 것이 좋으나 흰 종이에 다른 필기구로
써도 무방합니다.
제사를 받는 조상을 표시하는 첫글자는 다른 줄의 첫글자보다 한 자 정도 높게 씁니다.
봉사자는 [효(孝)]자를 씀으로써 자신이 그 제사의 직계 자손임을 뜻하고, 친속의 칭호 앞에
[현(顯)]자나 [황(皇)]자를 붙이는 것은 "크옵신","높으신" ,"훌륭하신"의 뜻으로 존경을
표하며 동시에 나의 직계 조상임을 표하는 것 입니다.
축문의 규격은 가로 24cm, 세로 36cm 정도의 크기의 깨끗한 백지에 쓰는 것이 좋습니다.
명절에 지내는 차례에는 축문을 쓰지 않습니다.
★ 축문의 내용과 작성법(아버님 제사일:음력 9月19日 축문사례)
부모님 제사의 축문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저는 金熙生이고 저희 어머님은 咸安 趙氏입니다)
[뜻풀이]
아, 임오년 구월 초하루는 정미일인데, 열 아흐래 날에 봉사자인 희생은 높으신 아버님과
어머님 유인 함안 조씨께 감히 고합니다.
해가 가고 세월이 바뀌어 아버님 (또는 어머님)의 기일이 다시 돌아오니, 옛일을 생각하고
은혜에 감동됨이 높은 하늘과 같이 끝이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제수를 차려 제향하는 뜻을 펴오니 흠향하시기 바랍니다.
[작성법]
◈ 제사하는 날짜에 음력式으로 年.月.日(例로서 丁未) 및 그 부인 ㅇㅇㅇ氏 및 자손이름(청색
글씨)을 기입합니다.
(例로서☞ 양력으로 2002년 10월24일 경우 → 음력으로 9月19日이라서 壬午年 丁未 9月19日로
/어머님은 咸安趙氏로 표기함)
◈ 下記사항에서 저희 부친 제사의 축문이며, 모친 제사의 경우에는 적색글의 顯考(현고)를 顯妣
(현비,妣 : 죽은 어미 비字)로 고쳐 씁니다.
◈ 벼슬이 있을 때의 호칭은" 學生"대신에 "관직명"으로,그 부인은 "孺人"대신에"貞敬夫人"(정경
부인)등을 씁니다.
◈ 할아버지,할머니 이상 선조의 축문은 부모의 축문과 같으며 밤색글씨 및 적색글씨를 수정합
니다.
차이점은 : ⊙ 孝子를 孝孫/孝曾孫등으로 고침
⊙ 顯考를 顯祖考/顯曾祖考등으로 고치며, 顯妣를 顯祖妣 / 顯曾祖妣 등으로 고침
⊙ 昊天罔極은 부모에게만 쓰며, 선조 이상은 不勝永慕(불승영모)로 고쳐씀
◈ 孝子이름은 겸양의 표현으로 조금 작게 쓰며 孝는 직계조상의 경우만 사용.
[작성예]
饗향
|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
顯현 考고 (어머니의 경우는→ 顯현
妣비) 諱휘 日일 復복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昊호 天천 罔망 極극
|
顯현 妣비 孺유 人인 咸함 安안 趙조 氏씨
歲세 序서 遷천 易역
|
顯현 考고 學학 生생 府부 君군
|
敢감 昭소 告고 于우
|
維유 歲세 次차
壬임 午오 九구 月월 朔삭 丁정 未미
十십 九구 日일 乙을 丑축
孝효 子자 熙희 生생
|
☞ 제례축문 (성분축)
☞ 제례축문 (우제축)
☞ 고사축문(시산제 축문)
☞ 추분,추석에어버이제사축문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