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테마컨텐츠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이 주의 테마컨텐츠
 
 
차례상 차리는법 차례 지내는 법 한복 입는법 절하는 법
추석컨텐츠 QA
차례상 그림
 
  차례지내는 법
 

차례는 기제사와 달리 설, 추석 등의 명절에 지내며 술은 한번, 축문은 쓰지 않는다. 예전에는 새벽이나 아침에 지냈으나 지금은 먼 지역에서 모임으로 늦게 지내는 편이다. 또한 장자와 장손이 제주가 되어 사당에서 차례를 지내지만 지금은 보통 대청이나 큰방에서 지낸다.

1) 영신(迎新)
먼저 대문을 열어놓은 뒤 제사상 뒤쪽에 병풍을 치고 제사상에 제수를 진설하며 지방을 쓴뒤 붙인다.

2) 진설(陳設)
제사상을 차린다는 의미로 술잔, 수저, 실과 등 식지 않는 음식을 차리는 것이 예의이다. 차례는 4대 조상을 모시기 때문에 차례 상을 따로 차려야 하지만 지금은 보통 한 상에 차려서 지낸다

3) 출주(出主)
사당이 있는 집에서는 사당에서 차례를 지내기 때문에 이 절차가 필요 없다. 그러나 지방을 모실 경우에는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지방을 모두 작성하여 모신다.

4) 강신(降神)
조상님이 제사를 지내는 장소로 오시라는 의미로 제주가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끓고 앉아 향을 세 번 태운 후 일어서서 읍을 한 후 두 번 절을 한다. 절한 후에는 제주가 앞으로 나아가 술을 세 번 나누어 모두 비운 후 두 번 절을 한다.

5) 참신(參神)
신위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이다. 이때 신주를 모실 경우에는 신주를 한 후에 강신을 하고 지방을 모실 때에는 강신을 하고 참신을 한다. 제주 이하 가족 모두가 절을 하는데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을 한다.

6) 진찬(進饌)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제사음식으로서 식어서는 안될 제사음식을 차린다. 보통 제주가 육, 어 갱을 올리고 주부가 면, 편, 메를 올린다. 탕류는 집사가 올린다.

7) 헌작(獻酌)
헌작은 조상이 식사를 하기 전에 술을 올리는 절차이다.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보통 4대 조상까지 모시므로 각 신위에 잔을 따로 올려야 한다.

8) 계반삽시(啓飯揷匙)
밥 뚜껑을 연다. 이때 밥 뚜껑은 남쪽으로 놓으면 된다. 밥그릇에 수저를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 절차로 밥 뚜껑을 여는 것을 계반이라 하고 밥그릇에 수저를 꽂고 젓가락을 편에 올리는 것을 삽시라 한다.

9) 합문(闔門)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참사자 전원이 제청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거나 엎드려 기다리면 된다. 보통 합문 시간이 4분에서 5분 정도 기다린다.

10) 계문(啓門)
합문을 한 후 연장자가 기침을 세 번하면 참사자 전원이 들어오거나 일어서면 된다.

11) 헌다(獻茶)
갱(국)을 내리고 물을 올린 뒤 수저로 밥을 조금씩 물에 세 번 덜어낸 후 젓가락을 다른 음식에 올려놓은 후 읍 한다.

12) 철시복반(撤匙復飯)
조상님들의 식사시간이 끝났다고 하여 수저를 거두는 것이 철시 밥의 뚜껑을 덮는 것을 복반이라 한다.

13) 사신(辭神)
조상들의 신위를 보내드리는 절차로 참사자들이 절을 한다. 이때는 참신과 같이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14) 납주(納主)
신위를 원래의 자리인 사당에 모신다. 지방을 모셨을 경우 지방을 향로 위에 놓고 태운다.

15) 철상(撤床)
진설한 제사음식을 거두어 내리고 젯상 등의 기물을 정리한다.

16) 음복(飮福)
주인과 참사자들이 음복주의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차례와 기제사의 차이점

1) 차례란?
-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로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정월 초하루, 추석에 지내는 것이 관례다.

2) 기제사란?
- 기제사는 조상숭배의 실천윤리의 하나로 조상이 사망한 날을 추모하여 지내는 조상기일 의례이다.

 
우리나라 명절의 풍습
 
 
블로그에퍼가기버튼출력하기

전체리스트보기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