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인(境界人)이란 오랫동안 소속됐던 집단을 떠나 다른 집단으로 옮겼을 때, 원래 집단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금방 버릴 수 없고, 새로운 집단에도 충분히 적응되지 않아서 어정쩡한 상태에 놓인 사람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미 직장을 다니고 있는 당신은 어떤가? 처음 출근하던 날의 설렘, 입사할 때의 열정이 아직 남아 있는가? 야근을 생각하고 천천히 일을 하거나, 업무보다 사내 정치에 몰입하고 있지는 않는가?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랬는데, 회사도 싫고, 팀장, 팀원들도 마음에 안 들지만 나갈 용기는 없어 하루하루 버티고 있지는 않은가? 그렇다면 당신도 경계인(境界人)이다. 왜냐하면 새로운 조직을 찾아 나서지도 못하고, 지금 있는 조직에서도 뿌리내리지 못했으므로. 진작 퇴사를 해서 이직을 하거나 다른 일을 했어야 하지만, 백수가 되는 것이 두려워 퇴사를 미루고 있으므로.
|
신입은 방향성이고 경력은 업무 성과다. 신입은 지원 업종이나 직무와 관련해서 어떤 교육이나 경험을 쌓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중심이어야 하고, 경력은 전 직장에서 했던 프로젝트와 업무 성과를 통해 조직에 어떻게 기여했는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경력 10년차 직장인이 경력 자기소개서가 아닌 신입 자기소개서를 썼던 것이다. 그는 경력이 10년이나 있음에도, 이직하는 시점에서 10년 전 학생과 직장인 그 사이에 있는 경계인으로 돌아가버린 것이다.
이렇게 취업과 이직 앞에서 상시적이든 일시적이든 경계인이 되는 사람들을 우리는 쉽게 볼 수 있다. 이유는 ‘이 정도 스펙이면, 이 정도 경력이면 취업이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엔지니어가 창업을 해서 쉽게 망하는 이유는 ‘제품만 뛰어나면 잘 팔릴 것’이라 생각해서 제품 개발에만 몰두하고 마케팅을 게을리해서이다. 취업도 마찬가지이다. 취업 시장에 ‘나’라는 상품 못지않게 그 상품을 마케팅을 하는 법도 알아야 한다.
실력과 경험은 취업의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 이력서 작성, 면접 스킬까지 익혀야 취업이 완성된다. 주변에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치고 취업관련 세미나는 물론, 취업관련 책 한 권 사봤다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취업난이라는 말은 분명이 취업이 어렵다는 말일 텐데, 왜 다들 취업을 만만히 보는 것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