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진부한
표현은 쓰지 않는다.
· 문장의 첫머리에 '저는..', '나는' 이란 단어로 시작하지 말 것.
-> 마치 일기의 첫머리에 '오늘...'이란 말로 시작하는 것과 똑같다. 지금 쓰고있는 자기소개서는
친구, 선배, 후배, 그 누구것도 아닌 바로 자기 자신에 대한 소개서이다. 이미 인사 담당자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상투적이란 느낌만 줄뿐이다.
· 저는 19○○년 ○년 ○○일에 태어나.....
-> 태어난 년도나 날은 이력서에 이미 기재가 된 상황이니 중복해서 소개서에 쓸 필요는 없다.
② 당연한 말은 쓰지 않는다.
· 학생 때는 공부를 열심히 했습니다.
· 군대시절 군복무를 충실히 했습니다.
· 친구들과는 의리있게 지냈으며, 우정이 돈독합니다.
· 부모님께 효도를 하며 자랐습니다.
· 입사하면 열심히 하겠습니다.
누구라도 쓸 수 있는 당연한 말은 차라리 쓰지 않는 게 낫다.
굳이 쓰고 싶다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다르게 표현하자.
당신은 다른 존재이고, 이 세상에서 유일한 사람이다. 유일함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글을 쓰자.
③ 통신 언어는 쓰지 않는다.
맞춤법을 지키자. 글을 쓰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은 맞춤법이다.
요즘 자기소개서를 읽다보면 자기소개서인지, 웹사이트 자유 게시판에 올리는 글인지 분간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다.
"∼했구여.", "∼하구", "∼있슴다."
등 어미를 통신 용어로 그대로 쓸 뿐 아니라, 어미 끝에 "......."
마침표의 남발, 온갖 표정까지
^^ ^^; *^^* ㅡㅡ;
실로 다양하다.
자기소개서는 입사를 위한 서류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개인이 기업에 제출하는 공문이다. 따라서 자신의 인생이 달려 있는 서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스로의 인생에 좀 더 진지해지자.
대부분의 인사 담당자는 통신 용어에 익숙하지도 않을뿐더러, 익숙하다 하더라도, 수백, 수천의
서류중에서 맞춤법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서류를 끝까지 읽을 여유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