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rsonal Identification
① 성명(Name) : 반드시 완전한 성명(Full Name)을 써야 합니다.
② 나이(Date of Birth) : 월, 일, 연도순으로 적어야 합니다.
③ 성별(Sex): 남자인 경우 Male, 여자이면 Female이라고 씁니다.
④ 나이(age): 현재 자신의 나이를 씁니다.
④ 가족관계(Family Relation): 가족관계를 씁니다.
⑤ 출생지(Place of Birth) : Permanent Address 또는 Domicile 라고도 합니다.
보통 영문주소 기재와 같은 순서로 씁니다.
⑥ 결혼관계(Marrital Status) : 기혼하면′Married′,미혼이면′Single′라고 기재합니다.
(2) Educational Background
특별한 요구가 없는 한 최종 학력만을 적으면 됩니다. 전문대나 대학 졸업자이면 초등학교, 중학교 등은 적을 필요가 없습니다. 대학원 졸업인 경우에는 대학 학력부터 적습니다. 신입 사원의 경우 학력 사항은 경력보다 우선됩니다. 구인측에서 당신을 평가하는 제1차 적인 기준이 되기 때문에 학력사항은 반드시 정확하게 들어가야 합니다.
① 최종 학력부터 적되 재학 연도를 표기한다.
② 전공과 부전공을 표기한다.
③ 필요에 따라 이수 과목을 명기할 수 있다.
④ 중학교 이하는 쓸 필요가 없다.
(3) Military Service
온전한 외국기업일 경우는 쓸 필요가 없지만 거의 한국화 된 기업이나, 국내에서는 중요시되기도 하므로 군대에서의 시간을 경력으로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사회경력이 적은 경우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현역과 방위 소집 복무 자의 경우에는 그에 해당되는 제대 날짜를 밝혀 주면 자연히 구분이 되고, 병역이 방위 소집 면제 자의 경우에는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라고 씁니다.
(4) Special Achievements
어떤 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내세울 만한 특기(skills)가 있을 때는 이 항목을 반드시 기재합니다. 특히 희망하는 업무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나 특기를 쓰는 것이 유리하게 작용하는 요소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직무와 관련이 전혀 없는 자격증을 표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인된 자격증은 주관하는 곳을 밝혀 적고, 학원 등에서 익힌 기술인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하되, 단순한 제시보다는 과거에 익힌 기술(또는 경력)이 귀사의 업무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를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5) Special Activities
학교에서의 동아리 활동과 자원봉사 등 사회 활동을 요약해서 씁니다. 요즘에는 자원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기업의 채용 방식이 바뀌면서 중요시되는 항목입니다. 재학 시절의 동아리 활동, 농활, 봉사활동 등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여 조직력, 협동심, 지도력을 표현합니다.
(6) Honors and Awards(Additional Remarks)
상벌관계도 역시 교내외적인 행사에서의 수상경력이나 각종 표창경력을 기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