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차례 지방
이것만 보고 따라해 보세요!
매번 차례를 앞두고 헷갈리는 차례 지방 쓰는 방법
고민하지 말고 이것만 확인해 보세요!
🤔 매년 설날을 앞두고 헷갈리는 차례 지방
설날은 한국의 전통적인 명절로, 이때 가족들은 조상을 기리기 위해 차례를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조상의 이름과 사망 날짜가 적힌 신주를 대신해 임시로 종이에 기록하는 것을 사용하는데, 이것을 ‘지방’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지방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는 것은 한국 문화에서 조상을 기리고 경의를 표하는 중요한 전통 중 하나입니다.
📋 지방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신주를 대신해 차례 지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올바른 지방 사용법을 알고 실천해야 합니다. 아래는 지방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 올바른 지방 사용 규칙
① 깨끗한 한지를 품위 있게 접어 사용한다.
② 지방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로 정한다.
③ 직사각형이 아닌 상단 모서리를 살짝 자른다.
④ 한 사람일 경우 중앙에 글자를 적고, 두 사람일 경우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기입한다.
⑤ 문안을 쓸 때는 가능한 한자로 작성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한글로 적절하게 작성한다.
📝 지방마다 다른 지방 풀이
지방에 들어가는 글은 부모님 제사를 지내는 분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부모님 제사를 드리는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를 뜻하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와 현비유인OOO씨신위(顯妣孺人OOO氏神位)를 기억하고 풀어보면, 부모님뿐만 아니라 조부, 증조부, 고조부의 지방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남성을 뜻하는 지방 풀이
현고 : 제사를 올리는 본인과 조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며 부친은 현고만 적고 대상에 따라 바뀐다.
학생 : 조상의 벼슬 또는 직위로 현재는 벼슬이 없어 계속해서 배우는 뜻의 학생을 쓴다.
부군 : 남성을 뜻하는 말로 남편의 높임말이다.
신위 : 고인을 모신다는 뜻이다.
🙎 여성을 뜻하는 지방 풀이
현비 : 제사를 올리는 본인과 조상과의 관계는 나타내며 모는 비를 적는다. ex) 현비, 현조비, 현증조비, 현고조비
유인 : 원래는 벼슬하는 사대부의 부인을 뜻하는데, 여성과 부인의 높임말로 사용된다.
본관 성씨 : 여성의 본관과 성씨를 기입한다.
신위 : 고인을 모신다는 뜻이다.
예시💡 顯妣孺人昌寧曺氏神位 → 현비유인창녕조씨신위 |
가족 구성원인 부모님 이외에도 다른 분들의 지방을 작성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와 예의가 필요합니다. 세심한 주의와 예의를 기반으로 하는 지방 작성은 조상을 기리는 의미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부모님 외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것은 가족 간의 조화를 이루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설날 지방에 대한 정보를 알아봤는데요, 마지막으로 비즈폼에서 제공하는 설날 패키지를 통해 특별하고 완벽한 설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