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들의 '참여'와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인터넷의
흐름인 웹 2.0은 이용자들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 검색,
태깅, 트래백 등을 활용해 스스로 정보 및 네트워크를 창조한다는 의미에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작성하고 서로 공유하는 블로그가 그 성격에 가장
밀접하다.
 |
 |
*위키디피아:
네티즌들이 직접 용어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그 정의를 자유롭게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위키디피아.
|
*구글의
애드센스광고: 자사 사이트 안의 광고 영역을
모든 웹 페이지로 넓혀, 광고 규범과 개념 자체를 바꾼 웹2.0
시대의 광고 애드센스 |
 |
 |
*블로그:
NHN이 서비스 하고 있는 개인 형 블로그, 진정한 WEB2.0
인가를 두고 아직은 의견이 분분한 상태. 네이버 보다는
테터툴즈 블로그가 좀 더 근접한 개념일 듯. |
*웹2.0:
웹2.0을 구현할 수 있는 AJAX(비동기 xml + 자바 스트립트)기술로
만들어진 사이트 각 테이블을 유저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
|
 |
 |
*아마존
닷컴: 웹 서비스에 기반한 개방형 전략으로
선회하면서 오늘날에는 실제 자사의 도서 판매 보다는 마켓 플레이스로
다양한 서점들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더 많은 이익들을 창출하고
있다.
|
*
이베이 서비스: 일반인도 자유롭게 웹을 사용
하면서 상거래를 할 수 있는 이베이 사이트. 아시아 태평양본부가
우리나라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
|
추천서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