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int : 한·미
FTA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산업별 분석)
한·미FTA 산업별 영향
해당산업
|
FTA 협상 결과
|
해당연맹
|
향후 예측되는 결과
|
의료
서비스
|
의료시장 개편
민간 의료보험 도입
영리 법인화
|
보건, 공공 |
대규모 구조 조정/의료공공성 위협
건보 체계 위협 |
교육분야
|
교육시장 개방
영리법인화 요구
미국 분교의 설립
|
전교조, 대학, 교수노조 |
대규모 구조 조정/ 교육 공공성 위협
교육 예속화 초래/ 공교육 강화 불가능 |
자본시장
|
|
사무금융, 금융노조 |
자본시장 예속
/ 대규모 구조 조정 |
농업
|
|
농, 축협노조 |
단위 농협 통폐합/
농업 붕괴 따른 구조조정 |
제조업
|
제조업 양극화,
유화산업 열악
|
금속연맹, 화섬연맹 |
비정규 노동 양산/
영세 사업장 붕괴
석유화학 업종 구조조정 |
서비스
|
대규모 자본 유입 |
서비스 연맹 |
대규모 구조 조정/
양극화 심화
비정규 노동 양산/ 국내 영화 산업 육성 좌절 |
공공부문
|
자본 참여 요구 |
공공연맹 |
기간 산업 사유화
추진/ 대규모 구조 조정 |
- 외교통상부 소속 대외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미 FTA협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구분
|
단기(정태) 효과
|
중장기(동태) 효과
|
실질 GDP
|
0.42% (29억 달러
증가)
|
0.99% (135억 달러
증가)
|
후생 수준
|
0.6% (24억 달러 증가)
|
1.73% (68억 달러
증가)
|
교역
|
대미 수출
|
12.1% (54억 달러
증가)
|
1.73% (68억 달러
증가)
|
대미 수입
|
29.1% (96억 달러
증가)
|
39.4% (122억 달러
증가)
|
대미 무역수지
|
42억 달러 흑자 감소
|
51억 달러 흑자 감소
|
생산
|
0.61% (8.5조 원
증가)
|
1.94% (27.0조 원
증가)
|
고용
|
- 0.51% (85천 명
감소)
|
0.63% (104천 명
증가)
|
- 다음은 한·미 FTA가 서비스업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표입니다.
이 역시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줍니다. 즉 수출은 줄고 수입은 매우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구분
|
단기(정태) 효과
|
중장기(동태) 효과
|
교역
|
대미 수출
|
4.0% (27.9억 달러
증가)
|
4.3% (28.2억 달러
증가)
|
대미 수입
|
9.6% (45.8억 달러
증가)
|
10.0% (46.2억 달러
증가)
|
대미 무역수지
|
17.9억 달러 악화
|
18억 달러 악화
|
생산
|
9.4조 원 증가
|
15.9조 원 증가
|
고용
|
171.2천 명 증가
|
288.7천 명 증가
|
Download & Pri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