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테마컨텐츠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이 주의 테마컨텐츠
이 주의 테마컨텐츠
비즈컨텐츠테마컨텐츠 비즈폼 8월 둘째주
비즈폼 비즈폼
테마컨텐츠 8월 2째주 테마 컨텐츠- 첩첩산중 "한·미 FTA" new
복잡미묘하게 변화하고 있는 한미 양국관계에 있어 FTA 협상은 갈수록 많은 난제를 낳고 있는 실정입니다. 자유무역협정 FTA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득과 실을 집중 점검하고 가열된 찬반논쟁을 객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대응방법을 모색해 봅시다.
비즈폼 비즈폼
전체리스트 보기
 
컨텐츠 집중, FTA
한-미 FTA
영향
찬반 Talk
관련서식
 

Point : 한·미 FTA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산업별 분석)


비즈폼한·미FTA 산업별 영향

해당산업
FTA 협상 결과
해당연맹
향후 예측되는 결과
의료
서비스
의료시장 개편
민간 의료보험 도입
영리 법인화
보건, 공공 대규모 구조 조정/의료공공성 위협
건보 체계 위협
교육분야
교육시장 개방
영리법인화 요구
미국 분교의 설립
전교조, 대학, 교수노조 대규모 구조 조정/ 교육 공공성 위협
교육 예속화 초래/ 공교육 강화 불가능
자본시장
  사무금융, 금융노조 자본시장 예속 / 대규모 구조 조정
농업
  농, 축협노조 단위 농협 통폐합/ 농업 붕괴 따른 구조조정
제조업
제조업 양극화,
유화산업 열악
금속연맹, 화섬연맹 비정규 노동 양산/ 영세 사업장 붕괴
석유화학 업종 구조조정
서비스
대규모 자본 유입 서비스 연맹 대규모 구조 조정/ 양극화 심화
비정규 노동 양산/ 국내 영화 산업 육성 좌절
공공부문
자본 참여 요구 공공연맹 기간 산업 사유화 추진/ 대규모 구조 조정

- 외교통상부 소속 대외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미 FTA협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구분
단기(정태) 효과
중장기(동태) 효과
실질 GDP
0.42% (29억 달러 증가)
0.99% (135억 달러 증가)
후생 수준
0.6% (24억 달러 증가)
1.73% (68억 달러 증가)
교역
대미 수출
12.1% (54억 달러 증가)
1.73% (68억 달러 증가)
대미 수입
29.1% (96억 달러 증가)
39.4% (122억 달러 증가)
대미 무역수지
42억 달러 흑자 감소
51억 달러 흑자 감소
생산
0.61% (8.5조 원 증가)
1.94% (27.0조 원 증가)
고용
- 0.51% (85천 명 감소)
0.63% (104천 명 증가)

- 다음은 한·미 FTA가 서비스업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표입니다. 이 역시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줍니다. 즉 수출은 줄고 수입은 매우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구분
단기(정태) 효과
중장기(동태) 효과
교역
대미 수출
4.0% (27.9억 달러 증가)
4.3% (28.2억 달러 증가)
대미 수입
9.6% (45.8억 달러 증가)
10.0% (46.2억 달러 증가)
대미 무역수지
17.9억 달러 악화
18억 달러 악화
생산
9.4조 원 증가
15.9조 원 증가
고용
171.2천 명 증가
288.7천 명 증가


비즈폼Download & Print

한·미 FTA 산업별 영향 한·미 FTA 저작권 협상 쟁점
한·미 FTA 산업별 영향

한·미 FTA 체결로 인해 국내에 미치는 산업별 영향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한·미 FTA 저작권 협상 쟁점과 예상되는 문제점
한·미 FTA의 쟁점과 미국측 요구사항에 따른 예상문제점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전체리스트보기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