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테마컨텐츠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이 주의 테마컨텐츠
이 주의 테마컨텐츠
비즈컨텐츠테마컨텐츠 비즈폼 8월 다섯째주
비즈폼 비즈폼
테마컨텐츠 8월 5째주 테마 컨텐츠- 월급통장의 재발견 "단기자금상품" new
급여, 여유자금,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묵혀두고 계시진 않나요? 언제라도 자유롭게 찾을 수 있고 이자까지 쏠쏠한 자산관리통장이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단기자금을 관리하는 대표적인 세 가지 상품 CMA·MMF·MMDA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의 자금규모와 성격에 적합한 상품을 선택해 봅시다.
비즈폼 비즈폼
전체리스트 보기
 
컨텐츠 단기자금상품
CMA
MMDA & MMF
종합비교
관련서식
 
Point : CMA의 성격(장단점)

비즈폼CMA

CMA는 우량 어음 및 채권 등으로 운용하여 수익을 올리는 실적 배당 상품입니다. CMA 통장은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하루만 맡겨도 연 3%대의 이자를 받으므로 수익성 면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상품입니다. 매일 운용실적에 따라 적용 이자율이 변동되며 인출 시 예탁일수에 따라 이자율이 적용됩니다. 종금사 상품이지만 은행의 수시 입출금 통장과 같이 입출금, 급여이체, 자동납부 기능을 갖고 있으며 하루라도 맡기면 최대연 4%를 지급하며 원리금 5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상품으로 원금보장이 됩니다.

최근엔 급여이체, 자동납부, 은행과 가상계좌를 연결해 현금인출기와 온라인에서 자유로이 입출금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한 바 있습니다.


그럼, 각 증권사의 CMA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증권사별 CMA 특징

유형
어음형
RP형
MMF형
증권사
동양종금
현대·한화
삼성·한국·우리·교보·CJ
연 이자율(%)
우리·국민·농협·신한·씨티
우리
우리(교보는 국민)
ATM 출금
수수료
영업시간 내 무료. 영업시간 외 600원(우리·농협은 무료) 현대는 가입 다음달까지 모든 수수료 무료 영업시간 내 무료. 영업시간 외는 증권사마다 다름
원금보장 여부
5000만원까지 보장
안 됨
안 됨

자료: 각 증권사(중앙일보 발췌)

Tip 아래 자료를 참고하세요

CMA의 이해 나만의 증권사별 CMA비교표
CMA의 성격 등 CMA의 정의와 특징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증권사별로 입출금, 금리, 지급방식, 자동납부 등 CMA상품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한 표입니다.

전체리스트보기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