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테마컨텐츠 |
 |
11월
넷째주 |
|
|
|
|
|
|
|
|
 |
난방용품구입 |
 |
|
|
|
|
|
|
난방용품의 종류
전기히터
|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 좋은
제품으로 작고 가벼워 이동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해 인기가
높습니다.
종류: '원적외선 히터'와 '할로겐 히터' 두 가지
|
전기
라디에이터
|
냄새 없이 내부의 공기를 훈훈하게
해주는 제품으로 전기로 액체를 데워 순환시켜 대류열(對流熱)을
발생시킵니다.
장점: 어린이가 있는 집이라도 안전
단점: 비싼 전기료
|
전기요ㆍ전기장판
|
겨울철에 등을 따뜻하게 데워
주는 온돌 문화에 적합한 난방 기기입니다. 전기장판은 직접
바닥에 사용하면 좋고 침대에서는 부드러운 전기요가 더 적합합니다.
|
가습기
|
겨울철이 되면 실내 공기가 건조해져
호흡기 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엔 필요에 따라
더운 김과 차가운 김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복합식 다기능
가습기'도 쉽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
가스
캐비넷 히터
|
등유를 사용하는 제품에 비해
연료비가 3분의 1 수준이고 이동이 편리하며 가스를 사용하므로
안전합니다. 다른 난방 기구들보다 깨끗하다는 것 또한 장점으로
작은 평형의 개인 사무실, 매장 등에 적합합니다.
|
<잠깐> 난방용품 구입 시 유의사항
난방용품은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무엇보다 난방용품을 고를 때 가장 신경
써야 할 점은 안전성입니다.
선풍기형이나 열선 히터의 경우, 안전 망이 촘촘한지 쓰러졌을 때 자동으로
불이 꺼지는 기능이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입 시 품질 검사 마크가 붙어 있는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난방 보조 용품
문풍지
테이프
|
창문 사이의 틈 또는 안테나선
등을 집안에 끌어들일 때 생기는 창문의 공간을 막아 줘 외풍은
물론 소음까지 차단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커튼
|
요즘엔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커튼을
활용하는데 겨울철엔 커튼도 난방 장치로 한몫을 합니다. 창문은
환기를 위한 부분만 탄력성 있게 남기고 김장용 비닐로 틈새
없이 메워주면 됩니다.
|
외풍
차단 특수 비닐
|
열 수축 효과가 있는 특수 비닐을
창문에 붙여 열 손실을 막아 주는 제품입니다. 베란다, 창문
틈의 열 손실을 차단할 뿐 아니라 창문에 맺히는 김 서림도
줄여주는 기능을 합니다.
|
출입구
틈막이
|
현관문의 바닥 틈새로 들어오는
찬바람뿐 아니라 빗물, 먼지, 벌레 등을 차단해 줍니다.
바닥에 닿는 부분은 연질의 재질로 되어 있어 문을 열고 닫는
데 지장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
항균
테이프
|
겨울에는 집안과 밖의 온도 차이로
유리창 주변에 습기가 생기기 쉬운데, 이 습기는 곰팡이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창문 아래쪽에 항균 테이프를 붙여 놓으면
곰팡이 방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