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조사로 시장이나 동향을 파악하라
자료조사
2413

  • 그렇다면 자료조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자료조사의 대표적인 방법은 정량적 조사와 정성적 조사가 있다.


    ‘정량적 조사(quantitative)’는 양에 따라 조사하는 것이고,
    ‘정성적 조사(qualitative)’는 종류와 특징에 따라 조사하는 것이다. 정량적 조사가 일정한 모집단의 표본을 대량 수집해서 그들의 관계를 알아내거나 습성을 판단하는 데 주력하는 반면, 정성적 조사는 그보다 적은 수의 표본을 사용하지만 깊은 곳까지 파고들 수 있다.


    정량적 조사가 여론조사라면, 정성적 조사는 인터뷰 조사방법이다. 정량적 조사는 사물의 양적 측정과 관련되어서 흔히 ‘하드 데이터(hard data)’라고 하고, 정성적 조사는 사물의 존재 이유를 이해하는 것으로써 ‘소프트 데이터(soft data)’라고 한다. 이처럼 질적▪양적 측면에서 검증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해두면 기획의 설득력은 더 높아진다.


    그런데 일일이 인터뷰나 많은 자료조사를 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할까? 블로그, 커뮤니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 사람이 만들어내는 것을 ‘휴먼 데이터(Human data)’라고 하는데, 이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기획 주제와 관련이 있는 인터넷 동호회, 카페 등 게시판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자료조사를 할 수 있다. 가능한 한 독자적으로 조사해서 객관적인 자료를 갖고 있는 것이 상대를 설득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의미있는 정보(Meaningful information)의 4가지 조건
    ① 목적성 : 이 정보가 목적에 맞는가?
    ② 시의성 : 이 정보가 핫이슈인가?
    ③ 중요성 : 이 정보가 다른 정보보다 중요한가?
    ④ 신뢰성 : 이 정보가 신뢰할 만한가?


    기획자는 업계 트렌드를 꿰고 있어야 한다.

    준비자료 없이도 한 시간 동안 자신의 생각을 펼칠 수 있을 만큼 비즈니스 트렌드를 훤히 꿰뚫고 있어야 한다. 기획력이 뛰어나다고 해도 비즈니스 트렌드를 잘 모르면 결국 옛날 정보를 읽는데 그칠 수도 있다. 반면 비즈니스 트렌드에 적합한 기획서는 오래 기억되어 더욱 더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기획서마스터

저자 : 윤영돈 저/이지현 그림출판사 : 새로운제안

상대방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는 기획서 작성의 결정판! 7배 더 강력한 기획서 마스터
좋아요!
담아보기
댓글(0)
0 / 100
※ 욕설 및 광고, 댓글 운영 규칙에 위배되는 글은 삭제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시 제한조치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