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 궁금하다!
2024년부터 달라지는 것
권력, 힘, 풍요로움, 재산, 미래를 상징하는 존재인 용의 기운을 가득담은 푸른 용의 해라고 합니다.
더 풍요로운 한해가 되려면 준비는 필수죠!
매년 달라지는 정책과 제도들이 무엇인지 눈여겨보고,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인지 챙겨야 할 때입니다. 알려드릴 내용은 2024년부터 시행 예정인 내용이므로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모든 내용을 다루는 것이 아닌 직장인이 알아두면 좋을만한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 급여와 관련된 부분, 청년, 육아, 소상공인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참고하세요!
💰 Money
💵 최저임금
시급 9,860원(2.5% 인상) 월급 2,060,740원
💸 4대보험요율
국민연금 : 사업주 4.5% 근로자 4.5%
건강보험 : 사업주 3.545% 근로자 3.545%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95%
고용보험 : 사업주 0.9% 근로자 0.9%
산재보험 : 사업주만 부담
💳 2024년 신용카드 사용금액 증가분에 대한 소득공제 도입
2023년 신용카드 사용금액의 105%를 초과하는 사용금액의 10% 공제(한도 100만원)
🏠 월세액 세액공제 소득기준 및 한도 상향
총급여 7,000만 원에서 8,000만 원으로 (종합소득금액 6천 → 7천)
한도도 연간 75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납세 부담금 낮춤
💸 영유아 의료비 세액공제 한도 폐지
700만 원 세액공제 한도 폐지
💰 혼인 증여재산 공제와 별도로 출산 증여재산 공제신설
거주자가 자녀의 출생일부터 2년 이내에 직계존속으로 증여받는 경우 1억원까지 공제
혼인신고 이전 2년 + 이후 2년 안에 직계존속이 재산을 증여하면 1억원까지 공제되는 것은 동일
👩🏻💼👨🏻💼 청년
🚌 청년 교통비 할인
k-pass 7월 도입 / 월 20회 초과탑승 시 청년 30%, 일반 20%, 저소득층 53% 할인
🔎 기술자격시험 응시료 할인
산업인력공단 수행 493개 시험 응시료 50% 할인 최대 연 3회
🏡 공동주택
분양 6.7만 호 임대 5.7만 호
서울시 청년을 위한 정책 확인 > 청년몽땅 정보통
부산 청년 정책 확인 > 청년G대 부산청년플랫폼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24년 2월 출시 /만 19세 ~ 34세 청년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무주택자
기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자 > 자동으로 신규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 가능
중도인출 1회 가능 / 납입한도 월 100만 원 /연이율 최대 4.3%
⌛ 청년희망적금 만기지급금을 청년도약계좌 일시 납입 허용
청년도약계좌 연간 납입한도(840만원)의 예외 적용
🤱🏻육아
📆 육아휴직 유급지원 기간 확대 18개월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시 육아휴직 기간 연장
💰 중소기업 근로자의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 지원 확대
5일 → 10일
👶🏻 영아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맞돌봄 특례 지원 확대
최대 450만 원 6개월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12세 이하 최대 36개월, 주 10시간 내 100% 급여지원
👩🏻💼 업무 분담 지원금
육아기 단축근로자 동료가 업무 분담시 월 20만 원 지원
👨👩👧👦둘째 아이부터 첫만남 이용권 지원금액 확대
200만 원 → 300만 원
👶🏻 0 ~ 1세 자녀 양육 가구 부모급여 인상
0세 월 70만 원 → 월 100만 원
1세 월 35만 원 → 월 50만 원
👨👧👧 자녀세액공제 확대 및 공제대상에 손자녀 추가
첫째/둘째/셋째 이상 15/15/30만원 → 15/20/30만원
👩🏻🍳소상공인
💪🏻소상공인 경영 응원 3종 패키지
◾고리 대출(평균 11%) → 저리(평균4%) 정책 자금으로 대환 이자 연 390만 원 ↓ (인당 5,000만 원, 1만 명 지원)
◾에너지 비용 절감 : 고효율 에어컨, 개방형 냉장고 문닫기 지원 6.4만대 보급
◾고용보험료 절감 : 최대 80% 지원 4만명
💼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과세특례 제도 도입
◾기회발전특구를 농어촌주택 특례 소재지에 포함하여 특구 내 주택 외 일반주택을 양도 시 양도소득세 1세대 1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기회발전특구에 창업 또는 사업장을 신설하는 기업에 대하여 소득 ·법인세 감면(5년간 100% , 이후 2년간 50%) 신설
◾수도권 기업이 수도권 내 부동산 양도 후 특구로 이전하는 경우 수도권 내 부동산 양도에 따른 양도차익을 특구 내 부동산을 처분할 때까지 과세이연
◾기회발전특구펀드에 10년 이상 투자 시 발생하는 이자·배당소득에 대해9% 분리과세 적용
⌚ 상용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제출 세액공제 적용기간 유예
현행 24년 1월 1일 ~ 25년 12월 31일 → 26년 1월 1일 ~ 27년 12월 31일
지금까지 2024년에 바뀌는 정책들을 살짝 살펴봤습니다! 2024년 공휴일을 참고해서 연차를 계획하실 분들은 아래의 스마트블록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