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추석의
민속놀이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강강술래
전라남도 서남해안지방에서는 부녀자들이 강강술래놀이를 즐깁니다.
추석날 저녁 설거지를 마치고 달이 솟을 무렵 젊은 부녀자들이 넓은 마당이나
잔디밭에 모여 손과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면서 노래를 부르고,
뛰고 춤을 추는 추석 전통 민속놀이입니다.
소 놀이/거북놀이
소 놀이는 두 사람이 멍석을 쓰고 앞 사람은 방망이를 두
개 들어 뿔로 삼고, 뒷사람은 새끼줄을 늘어뜨려 꼬리를 삼아 농악대를
앞세우고 이 집 저 집 찾아 다니게 되는데, 이때 일행을 맞이하는 집에서는
많은 음식을 차려 이들을 대접합니다.
거북 놀이는 두 사람이 둥근 멍석을 쓰고 앉아 머리와 꼬리를
만들어 거북이시늉을 하고 느린 걸음으로 움직입니다. 사람들이 거북이를
앞세우고 큰 집을 찾아가 "바다에서 거북이가 왔는데 목이 마르다"면서
음식을 청하고 들어가면 주인은 음식을 내어 일행을 대접하는 놀이입니다.
- 소 놀이와 거북놀이는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등에 전승되고 있습니다.
줄다리기
추석이 되면 마을 사람들은 모여 줄다리기를 합니다. 한 마을에서 편을
가르거나 몇 개 마을이 편을 짜서 하거나 또는 남녀로 편을 갈라서 하는데,
줄다리기의 승부는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으로 여기는 일도 있어서,
암 줄이 이기면 풍년이 드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줄다리기는 추석
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초 상원과 단옷날에도 하는 곳이 있어 농경의례의
하나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씨름
마을에서는 씨름판을 벌이는데, 어린이들은 아기씨름을 하고 장정들은 어른씨름을
합니다. 잔디밭이나 백사장에서 구경꾼에 둘러싸여 힘과 슬기를 겨루게
되며 씨름에서 마지막 승리한 사람에게는 장사라 부르고 상으로 광목,
쌀 한 가마, 또는 송아지를 줍니다.
가마싸움
예전의 추석명절에는 학동들이 모여 나무로 가마를 만들어 바퀴를 달고
이웃 마을의 서당과 경기를 하였습니다. 서로 가마를 가지고 넓은 마당에
모여, 가마를 끌고 뛰어나와 상대편 가마와 부닥치게 하는데, 먼저 망가진
편이 지고 아무리 부닥쳐도 가마가 성하면 이기게 됩니다.
 |
 |
 |
|
|
|
활동형태, 활동제목,
쪽수, 목표영역(신체,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으로 구성된
추석과행사에관한교육계획안 입니다. |
추석의 유래,
추석에 하는 놀이 와 풍습(거북놀이, 조리희, 소먹이 놀이,
소싸움)으로 구성된 추석의유래및놀이와풍습 입니다. |
´추석의
유래´라는 제목의 탐구 보고서 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