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하라! - 1.도해
기획서작성법
5058


  • 사람을 설득시키는 데 비주얼만 한 것이 없다. 그림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현된다. 간단히 만들 수 있고, 보는 사람의 흥미를 끌어 내용을 강력하게 부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도형, 그래프 등과 함께 연상될 때 메시지는 강력해진다. 백 마디 말보다 한 장의 그림이 더 값질 때가 있으며, 누군가를 설득하는 도구로써 그림은 상당한 위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그림은 한 페이지에 1개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1. 도해
    표의 기본은 피라미드형, 벤다이어그램형, 매트릭스형, 스타형의 4가지 형태가 가장 많이 쓰인다.이들을 응용하거나 조합하여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다.

    ① 피라미드형
    피라미드형 구조는 트리형 구조와는 반대로 바텀업(Bottom-up) 접근 방식이다. 아래에서 위로 하나하나 올라가면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되풀이하고 요약해서 마지막에 결론을 내리는 구조이다. 삼각형으로 계층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선호한다. 각층의 상하관계 등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② 벤다이어그램형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은 전체집합과 그 부분집합의 관계, 또 부분집합과 부분집합의 합집합 및 교집합, 그리고 부분집합의 전체집합에 관한 여집합 등을 폐곡선으로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원을 겹쳐서 상당히 복잡한 내용을 표현하기도 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3가지 원을 겹쳐서 이들 서로 간의 연관성과 전체적으로 전달하고 싶은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원의 개수가 늘어나면 전달하고 싶은 것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힘들 수도 있다.


    ③ 매트릭스형

    매트릭스형(matrix)은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2×2 매트릭스이다. 가로축, 세로축을 등분할하여 만드는 매트릭스는 적절한 키워드로 채우면 세분화된 개별요소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뚜렷이 인식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④ 스타형

    스타형 구조는 중심요소와 주변요소를 직선으로 연결하거나 화살표로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중심요소는 여러 개의 개별요소에 따라 지탱되고 있을 때 또는 연관된 것을 나타내고 싶을 때는 중심요소를 가장 중앙에 배치해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해준다.


    ⑤ 트리형

    트리형 구조는 피라미드형 구조와는 반대로 톱다운(Top-down) 접근 방식이다. 큰 업무를 세분화하고 이를 선정하기에 쉬운 나무와 같은 구조이다. 처음에 결론을 내린 후 아래로 내려오면서 왜 그런지를 설명한다.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데 활용하기 좋은 도구이다.

     

기획서마스터

저자 : 윤영돈 저/이지현 그림출판사 : 새로운제안

상대방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는 기획서 작성의 결정판! 7배 더 강력한 기획서 마스터
좋아요!
담아보기
댓글(0)
0 / 100
※ 욕설 및 광고, 댓글 운영 규칙에 위배되는 글은 삭제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시 제한조치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