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창업실무사례 |
 |
|
|
|
|
|
|
 |
창업업종의
선정 |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가 창출되고 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발전도 급속도로 변천되고 있으며, 또한 기술주기 (Life
cycle)가 짧아 벤처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넓어 창업이
가장많은 분야로 각광받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정보통신 분야는 크게
나누어 통신 . 반도체, 방송등 기술이 융합되면서 이분야의 전문성을 갖고
있지 않으면 창업이 어려운 분야이기도 하다. 벤처기업의 창업이란 이분야의
전문가로서 또는 신기술을 보유한 사람이 창업하게 되며 이때 업종 선정은
매우 어려우며 이는 시장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는 분야이기도
하다. 업종선정은 업종분류 code에 어디에 해당하는지 충분히 고려하여
업종을 선탹하여야 병역특례, 정부의 지원 정책등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매우 중요한 선탹이 되며, 이는 창업자가 고독한 결시믈 하여야
하는데 사전에 정보통신분야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에 협조를 받아서 정보를
수집하고 자기가 창업하고자 하는 업종 또는 분야를 선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업종 선정시 고려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업종선정의 기본 원칙
 |
성장 가능성이 있는가? |
|
 |
경험이나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전문기술 특징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가? |
|
 |
정부의 허가나 인가를 받아야 하는가? |
|
 |
실패의 위험성은 적은가? |
|
2) 업종선정의 기본순서
 |
창업희망 업종에 대한 정보수집 |
|
 |
경험자 또는 전문가의 면담 (전자통신연구원 애로
기술 상담창구, 중기형 상담창구등) |
|
 |
후보업종으로 검토하고 있는 구체적 정보수집 (경쟁상대회사,
시장, 가격, 전망등) |
|
 |
후보업종에 대한 정보분석, 검토 - 최종업종 및
사업 아이템 선정 |
|
3) 유망 정보통신 사업 아이템의
기본 조건
 |
소자본으로 도전할 수 있고 실속이 있는가? |
|
 |
기술 발전 또는 시장 유행에 맞는가? (저속통신망에서
고속 통신망으로 변화) |
|
 |
대기업 참여할 수 없고 벤처기업이 신속아세 시장에
대처할 수 있고 틈세시장으로 공략할 수 있는가? |
|
 |
소량 다품종으로 고객에게 적용할 수 있는가? |
|
 |
새로은 기술로서 타기업이 도전할 수 있는 기간내
충분히 수익을 갖고 다음 아이템으로 기술개발하여 항상 앞 서가는 기술을
소유하고 있는가? |
|
 |
자기자본 규모에 걸맞는 아이템을 선정하였는가?
정보통신 분야의 벤처기업으로 성공하려면 반드시 기술을 보유하고 앞서가는
기술 개발능력을 보유하여야 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