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코스닥이란? |
 |
|
|
|
|
|
 |
코스닥시장이란? |
|
1) 목표1. 유망 지식집안산업의 성장기반 구축
 |
등록심사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제고하여 기술력과
성장성이 거증되는 지식집약산업에 대해서는 시장진입을 적극 허용 |
|
- |
공급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등록심사의
창조적 기능을 확대 |
|
- |
최근 지정된 전문평가기관 및 전문가자문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주간사의 due-diligence 기능을 강화 |
|
 |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활동을 저해하는 규제의 과감한
완화를 통하여 중소기업벤처기업을 지원 |
|
 |
전산확충 등 시장 참여자에 대한 서비스기능을
제고함으로써 시장의 접근성 제고 |
|
2) 목표2. 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 제고
 |
기관, 외국인 등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장기
안정적 수요기반을 확충하고 시장의 질적수준을 제고 |
|
 |
시장의 효율적인 자원배분 및 수급조절 기능을
확충하기 위하여 공모가 제도를 포함한 발행시장을 개선하고 퇴출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도모 |
|
 |
매매거래제도의 개선을 통한 투자자의 편의성 제고 |
|
 |
코스닥 시장의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저비용, 고효율의 조직재정비 |
|
3) 목표3. 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 제고
 |
불공정거래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및 인프라 구축 |
|
 |
인터넷 거래 및 내부자거래 등의 불공정 거래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감리시스템 구축 및 감리인력 확충 등
감리 인프라를 강화 |
|
 |
공시제도
개선 등 투자자의 신뢰회복 |
|
 |
공시제도는 "정보의 평등'을 통한 "거래능력의
평등"을 추구함으로써 투자자를 보호하고 시장의 가격발견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제도임 |
|
 |
불성실공시법인에 대한 퇴출을 강화하는 등, 불성실
공시법인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성실공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경미하거나
기업의 귀책사유가 없는 불성실 공시에 대해서는 이의신청 허용 |
|
4) 목표4. 시장의 국제화 대비
 |
세계 증권시장의 통합화 및 협력의 시대를 맞이하여
해외 주요 신시장과의 활발한 교류를 추진하고 국제 정합성에 부합하도록 제도의
선진화를 도모 |
|
 |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확충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증권시장으로 육성하여 세계증권 시장 내에서의 위상을 확보 |
|
5) 코스닥 시장의 비젼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시장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시장참여자가
서로 공존공영할 수 있는, 투자자로부터 신뢰받는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시장으로
발전 |
 |
신경제(New
Economy)의 기반구축을 지원하는 시장 |
|
 |
산업구조조정의 주도적역할과 벤처산업의 선순환 환경을
조성하여 지식기반경제(Knowledge-
based Economy)의 견인차적 역할을 수행 |
|
 |
시장참여자가
서로 공존공영 (Win-Win)할 수 있는 시장 |
|
 |
기술력 있고 성장성이 뛰어난 기업의 시장진입을
촉진하는 한편 투자자에게는 미래의 고부가가치
에 대한 기대와 함께 높은 수익이 시현되는 기회의 장으로 발전 |
|
 |
투자자로부터
신뢰받는 시장 |
|
 |
시장감시자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제고하여 불공정거래행위를
방지하고 성실한 공시관행이 정착
되도록 함으로써 |
|
 |
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제고되어 투자자로부터
신뢰받는 시장으로 발전 |
|
 |
세계증권시장과의
교류·협력 강화 |
|
 |
세계증권시장의 통합화 및 협력의 시대를 맞이하여
국경없는 자본조달로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
하고 코스닥 시장의 국제시장에서의 위상 정립 |
|
 |
세계 각국의 중소·벤처기업전용시장(Risky Capital
Market)과 활발한 교류를 추진하고 국제적 정합성에부합하도록 각종 제도를
선진화 |
|
 |
코스닥 시장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확충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증권시장으로 육성하여 세계증권 시장내에서도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함 |
|
▶ |
향후 코스닥 시장은 국제경쟁력 배양 및 국제
정합성 제고, 국제간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시장으로 성장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