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장
연하장의
유래
새해에 축하인사를 담은 서찰을 보내는 풍습은 옛부터 있었던 일로, 새해에
스승 ·부모 ·친척 ·친지 등을 직접 찾아가 인사드리지 못할 경우에
아랫사람을 시켜 문안의 서찰을 보내곤 하였지만, 근대적 의미의 연하장은
우편법이 제정되고 엽서가 발행되면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하장의 시초는 15세기 독일에서 아기 그리스도의 그림과 신년을 축복하는
글을 동판으로 인쇄한 카드를 만들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일반적으로 풍습화되지는 않았다. 이어 18세기 말에는 명함이 유행하여
그 초기에는 명함에 그림을 넣는 풍습이 생겨나,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지에서는 그것이 미술적인 카드로 변하여 신년에 친지들에게 보내졌고,
영국과 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크리스마스 카드의 교환이 시작되어
점차 크리스마스와 신년인사를 겸하여 인쇄하게 되었다.
한국에는 이러한 풍습이 20세기 초에 전래되어, 지금은 매년 연말에
각 우체국에서 연하장을 특별취급하는 연하우편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인사말
인사말 1
새해 福 많이 받으십시오. 새해에는 새해만의 태양이 뜹니다. 새해에는
새해만의 노래가 있습니다. 나뭇잎이 떨어짐을 서글퍼할 때 다음 봄 파란
새잎이 움트는 소리를 듣는 사람이 있습니다. 새해에는 당신의 노래 소리가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울림이 되시길 주님께 祈願하렵니다.
인사말 2
새해에 뜨는 해는 귀하의 큰 뜻입니다. 새해에 부는 바람은 귀하의 힘찬
기운입니다. 온 세상에 뜻을 비추고 쉼없는 기운으로 내달릴 올 한 해
귀하의 한 해가 되십시오.
인사말 3
謹賀新年 하루를 지내고 나면 더 즐거운 하루가 오고 사람을 만나고 나면
더 따스한 마음으로 생각하고 좋은 일이 생기면 더 행복한 일을 만들
수 있는 아름다운 새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인사말 4
새해 새 아침 떠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며 나즈막히 제 이름을 불러봅니다.
밝아오는 동녘을 바라보며 조심스레 님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하루하루
벅차지 않은 날들이 없겠지오만은 님이 느껴지는 오늘 이 아침은 두고두고
잊혀지지 않는 시가 됩니다. 올 한 해 더욱 가까이 다가가렵니다.
인사말 5
Best Wishes for A Merry Christmas and
A Happy New Year 성탄과 새해를 맞이하여 지난해 보살펴
주신 厚意에 感謝를 드립니다. 健康과 幸運이 늘 함께 하시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