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인증 > 경영시스템 인증의 획득
인증
비즈컨텐츠경영시스템 인증의 획득 비즈폼
비즈폼 비즈폼
1 인증 획득 절차 2 반납 추가 변경
3 인정된 인증 4 기관선택
5 인증획득시 혜택  
비즈폼 비즈폼
01 인정된 인증

인증기관이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ISO 9001:1994, ISO 9002:1994 및 ISO 9003:1994 또는 ISO 9001:2000)규격에 따라 인증을 해 주기 위한 인증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제기준인 ISO Guide 62에 적합한 인증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환경경영체제 국제기준인 ISO 14001규격에 따른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ISO Guide 66에 적합한 인증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인증시스템을 갖추었음을 제3자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아 적합하다고 보증받은 인증기관만이 국제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관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정보통신 분야의 인증제도인 TL 9000이나 기타 AS 9100(항공우주 분야), K-OHSMS(직장보건안전분야) 또는 ISMS(정보보안경영체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인증기관의 적합성을 평가해 주는 기관을 인정기관(Accreditation body)이라 하며, 세계 각국의 정부는 자국의 대표적인 인정기관을 지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우리 인정원, 즉 한국인정원(Korea Accreditation Board, 약칭 KAB)에서 인정기관의 역할을 산업자원부로부터 지정받아 수행해 오고 있다.

인정(지정)받은 인증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서에 대하여 국내에서 각종 법에 의해 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며,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IAF의 MLA(국제다자간상호인정협정)에서는 회원국의 인정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인증서만을 대상으로 상호인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증기관이 인정(지정)받았는지 여부는 인증기관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수출입시 바이어에게 신뢰를 주는데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정받지 않은 인증기관은 국제기준에 따라 인증업무를 성실히 수행하는지 여부를 아무도 감독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증을 받는 기업이나 인증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 구매자 등 고객은 상기 내용을 유의하여, 인정된 인증기관인지의 여부를 엄밀히 따져보아야 미인정 인증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