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QS9000 |
 |
|
|
|
|
 |
QS9000
규격 개발 경위 및 국내도입 |
|
1988년 8월 미국품질학회(ASQ)의
자동차부문 회의시 미국 자동차부품산업의 품질시스템 개선을 위한 BIG 3(GM, 포드,
다임러크라이슬러) 공통규격 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를 위한 공급자품질요구사항실무반(Supplier
Quality Requirements Task Force : SQRTF)이 AIAG(Automotive
Industry Action Group)와의 협조로 구성되었다.
이후 SQRTF는 기술용어, 각종 서식, 참고 매뉴얼의 규격화에 착수하였으며, 그
결과 1990년에 MSA(측정시스템 분석), 1991년에 SPC(통계적 공정관리),
1993년에 PPAP(양산부품 승인절차)와 FMEA(고장형태 및 영향분석) 그리고
APQP(사전 제품 품질계획 및 관리계획서)가 1994년에 제정되었으며, 주매뉴얼인
QS-9000 품질시스템 요구사항과 QSA(품질시스템 심사)가 1994년 8월에 제정됨으로써
QS-9000의 전체규격이 수립된 것이다. |
1996년 6월 산업자원부,
BIG 3 SQRTF 공동의장 및 KAB 관계자와의 회의에서 KAB를 한국의
QS-9000 인정기관으로 승인키로 하였으며, 그 해 9월 9일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KAB는 1996년 12월부터 ISO 9000 인증기관을 대상으로 QS-9000
인증기관 인정업무를 시작하였으며, 2003년 1월 현재 9개의 QS-9000
인증기관이 인정되어 인증심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7종의 QS-9000 매뉴얼에 대한 한글본을 발간하였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개정이 적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아울러, QS-9000 인증심사원
및 전문가 양성을 위해 미국 AIAG(Automotive Industry
Action Group)와 긴밀한 협력 하에 심사원 양성과정을 매년 2회
이상 개최하고, 인증제도의 홍보 및 보급을 위한 세미나도 수시로 개최하고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