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ISO14000 |
 |
|
|
|
|
 |
환경경영의
기본모형 |
|
1992년 리우 지구정상회의를 계기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적 방법론의 하나로
환경경영이라는 새로운 기업 경영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환경관리 방법이나
사후처리 위주의 기술개발 및 투자활도이 더 이상 충분한 수준이 될 수 없다는 공감대의
반영이며,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하는 기업경영전략의 도입을 강히
요구하는 것이다.
즉 일부 환경담당자들에 의해 사후처리방식 중심으로 운영되어 오던 기존의 환경관리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직원의 참여를 통하여 사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환경경영체제는 이와 같이 환경의 경영시스템과 통합을 고려함은
물론 기업의 성장과 환경성과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그 목적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ISO 14001을 통하여 기업경영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실현하려고 한다.
▶기업경영과 관련된 환경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원칙을 정립한다
▶ 기업경영과 관련된 제반 환경오염의 원인과 심각한 환경영향을 식별하고, 환경경영체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환경영향의 지속적인 감축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천연자원의
보존에 노력한다.
▶ 엄격해지고 있는 국내의 환경법규의 준수 뿐 만 아니라 기업 스스로 설정한 환경방침,
환경경영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천한다.
▶ 조업원들의 책임,권한, 및 절차 그리고 특수업무를 규명함은 물론, 이를 문서화
함으로써 일상업무에서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거나 혹은 제거한다.
▶ 환경경영에 필요한 조직체제 및 책임을 규명하며, 필요한 자원을 적절히 공급한다.
▶ 종업원의 환경책임과 환경인식의 향상을 도모하며, 그 방법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 환경성과를 대내외에 공표함으로써 은행,보험사 등 금융기관,주주,이해관계자 나아가서는
일반대중으로부터 환경경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제반 환경경영 활동을 통하여 경쟁기업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