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QS9000 |
 |
|
|
|
|
 |
기대효과와
국제동향 |
|
미국 자동차 BIG 3는 자사에
납품을 희망하거나 납품을 하고 있는 모든 부품업체에 대하여 QS-9000 인증획득
시한을 정해 놓았으며, 기한 내에 QS-9000 인증을 받지 못하면 기존의 납품자격을
상실하게 됨은 물론 납품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된다.
또한 QS-9000 품질인증이 추구하는 품질경영 시스템은 지속적 개선활동과 제반 제조능력,
불량예방, 이상 발생 감소, 낭비의 최소화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의
도입은 업체의 제조능력 향상과 원가절감에 따른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특히 이제까지 공급자들은 BIG 3로부터 각각의 인증심사를 따로 받아야 했으나, QS-9000
품질인증 시스템이라는 단일화된 표준에 의거하여 한번에 BIG 3, 3사의 인증을 동시에
획득하게 되어 심사비용의 대폭적인 절감효과를 가져왔다.
즉, BIG 3의 납품업체로 선정받기 위하여 종전에는 각사별로 16단계에 걸쳐 2년이
걸렸으나, QS-9000 인증획득시 전체 회사에 대하여 8단계가 생략되어 1년이면
자격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부품제조의 공용화가 가능하여 스크랩의 대폭 감소 등 재료의 낭비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QS-9000 인증획득은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
QS-9000 규격은
이미 미국과 남미를 비롯해 유럽, 호주, 동북아시아 등 BIG 3의 공급자가
위치한 많은 나라에서 발효되어 세계적인 규격으로 발전되고 있다.
QS-9000 인증제도의 세계적 발전상황을 보면, 2003년 1월 현재
한국의 한국인정원(KAB)을 비롯한 22개 인정기관이 승인되었으며, 자동차부품업체를
심사하여 QS-9000 인증서를 발급할 176개의 인증기관이 인정기관으로부터
인정되었다. 또한 이들 인증기관으로부터 전세계적으로 총 15,000개 이상의
업체가 QS-9000 인증을 획득하였다.
국내에서도 2003년 1월 현재 9개의 QS-9000 인증기관으로부터 약
1,500개의 자동차부품업체가 인증을 획득하였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