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인증 > QS9000
인증
비즈컨텐츠QS9000 비즈폼
비즈폼 비즈폼
1 개발경위 및 국내도입 2 기대효과와 국제동향
3 목적,인증요소,구성 4 인증절차
3 운영체계 및 참고메뉴얼 4 ISO/TS16949와의 비교
3 국내도입과 심사원 자격부여  
비즈폼 비즈폼

01 QS9000 인증제도 운영체게 및 참고매뉴얼
1) QS9000 인증제도의 운영체계
QS-9000 인증제도는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 제3자 인증제도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었다. 미국 BIG 3 SQRTF는 국가별 인정기관(Accreditation Body)을 승인하고 인정기관은 자동차부품업체의 품질시스템을 심사하는 인증기관(Certification Body)을 인정한다.

QS-9000 인증기관은 품질경영시스템 인증기관에 대한 국제기준인 ISO/IEC Guide 62에 의거한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품질경영시스템 ISO 9000 인증기관으로 인정을 획득하고 QS-9000 인증기관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2) 참고메뉴얼(부속/부속서)
참고메뉴얼 6권의 주내용은 QS 9000 품질시스템 심사(평가)점검표(QSA), 제품개발에 대한 품질계획을 사전에 수립하는 제품품질계획 및 관리계획(APQP with CP), 통계적공정관리(SPC), 계측장비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분석(MSA), 부품을 양산전 고객이 승인하는 절차(PPAP), 설계 및 공정에 있어서의 고장형태 분석(PFMEA) 등이다.

QS-9000
Quality System Requirements(품질시스템 요건)
Requirement Manual
APQP
Advanced Product Quality Planning and Control Plans (사전제품 품질기획 및 관리계획)
Reference Manual
FMEA
Potential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잠재적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
Reference Manual
QSA
Quality System Assessment(품질시스템 심사)
Reference Manual
Reference Manual
MSA
Measurement Systems Analysis(측정시스템 분석)
Reference Manual
PPAP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양산부품 승인절차)
Requirement Manual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통계적 공정관리)
Reference Manual
3) 문서 시스템
참고메뉴얼
ISO 9001
주요관련요건
주요내용 (또는 목적)
품질시스템 평가(QSA)
4.17 품질감사 QS9000 인증심사시 평가의 가이드가 되는 표준점검표를 제시
사전제품품질
계획 및 관리계획(APQP with CP)
4.1 경영책임
4.2 품질시스템
4.4 설계관리
4.9 공정관리
1.초기계획, 설계 및 공정분석 단계에서의 단계적인 제품
  품질계획활동을 설명
2.생산단계에서의 산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정분석 및 특성의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를 설명
3.각 활동과 관련된 체크리스트 사례를 제시
통계적공정관리(SPC)
4.9 공정관리4.20 통계기법 공정관리에 통계적 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4부분으로 설명
1.지속적 개선과 통계적 공정관리
2.계량형 관리도
3.계수형 관리도
4.공정측정시스템 분석
계측시스템분석(MSA)
4.11 계측장비 측정시스템의 분석, 연구를 위한 가이드
생산부품승인 절차(PPAP)
4.4 설계관리
4.9 공정관리
4.13 부적합관리
부품 공급자가 고객(BIG 3)에게 부품을 승인 받는 절차로, 제출준비요령, 제출요건, 수준 등을 안내
잠재고장형태 분석(PFMEA)
4.4 설계관리
4.9 공정관리
설계FMEA와 공정FMEA로 나누어 그 적용과 작성시점,
작성시 고려할 사항 등을 설명

4) QS 9000 품질시스템 체계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