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QS9000 |
 |
|
|
|
|
 |
QS9000의
목적, 인증요소,구성 |
|
QS-9000은 자동차에 관련된
생산 , 서비스, 부품, 자재의 내외부 공급자들에 대하여 Big 3사/트럭제조사/기타
외주고객사의 기본적인 품질시스템 기대치를 규정하여 공급자로 하여금 지속적 개선, 결함
예방, 낭비 및 산포의 방지를 위한 품질시스템을 갖추도록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고객만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
QS-9000은 생산
및 서비스 부품, 자재의 내·외부 공급자들에 대하여
Big 3사/트럭 제조사/기타 외주 고객사의 기본적인 품질시스템 기대치를
규정하여 품질요구사항에 적합함을 최종고객 및 공급자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산포와 낭비를 지속적으로 줄임으로서 고객만족을 보장하고 있다. |
3)
QS9000 규격의 구성(2003년 1월 현재) |
규격명
|
영문명
|
개정이력
|
QS-9000 품질시스템요구사항
|
QS-9000 Quality System Requirements
(QSR) |
1994년 8월 초판
1995년 2월 제2판
1998년 3월 제3판 |
품질시스템 심사
|
Quality System Assessment (QSA) |
1994년 8월 초판
1998년 3월 제2판 |
사전제품품질계획 및 관리계획서
|
Advanced Product Quality Planning
and Control Plan (APQP) |
1994년 6월 초판
1995년 2월 2쇄(신표지) |
양산부품승인절차
|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PPAP) |
1993년 2월 초판
1995년 2월 제2판
1999년 9월 제3판 |
잠재적 고장형태 및 영향분석
|
Potential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
1993년 2월 초판
1995년 2월 제2판
2001년 7월 제3판 |
측정시스템 분석
|
Measurement System Analysis (MSA) |
1990년 10월 초판
1995년 2월 제2판
2002년 3월 제3판 |
통계적 공정관리
|
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
1992년 초판
1995년 3월 2쇄(신표지)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