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
인증월드 가을호를 통해 TL 9000 인증제도
내용 소개 |
2000. 2
|
미국 Excel Partnership과 TL 9000 인증제도 도입
협의 |
2000. 3
|
기술표준원에 TL 9000 인증제도 도입계획 보고 및 협조요청 |
2000. 4
|
미국 QuEST Forum의 사무국인 ASQ와 TL 9000 규격 한국어판
발간 협의 및 인정업무 수임 요청 |
2000. 4
|
서울에서 개최된 IAF 이사회 회의시 미국 QuEST Forum 대표에게
TL 9000 인증기관 지정을 각 지역의 IAF 회원인 인정기관에게 일임토록
공식요청 |
2000. 6
|
일본에서 개최된 QuEST Forum Global Conference에
참석, 미국 QuEST Forum측에 한국을 TL 9000 인정기관으로
지정토록 요청하여 QuEST Forum의 전임 회장을 비롯한 Board
member들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받음.
동 회의시 미국측에서 각국의 인정기관에게 TL 9000 인증기관 지정을
맡길 계획이며, 7월 11-13일 미국 밀워키에서 개최되는 IAF 이사회
회의시 관련 절차를 상의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2000. 7
|
미국 밀워키에서 IAF 이사회와 미국 QuEST
Forum 대표간 향후 추진방향 합의 |
1) 미국 QuEST
Forum 측은 IAF 인정기관 MLA 체제 하에서의 TL 9000
인증기관 |
|
지정 원칙에 찬성함 |
|
2) 미국과 IAF는
가까운 시일안에 각자의 대표를 선정하고, 동 대표들이 모여 현재의
|
|
IAF MLA
협정에 미국측의 요구사항을 일부 추가한 TL 9000 MLA
협정을 작성키로 함 |
|
3) 동 작업반에서
TL 9000 MLA 협정이 작성되면, 이를 IAF 및 미국측에서
채택하고, |
|
이에 의거하여
MLA 공동평가(Peer Evaluation)를 새로 실시함.(신청
인정기관에 한하여 실시) |
|
2000.12.29
|
미국 QuEST Forum에 시범인증프로그램 참여 신청 |
2001.1.30
|
미국 QuEST Forum, KAB의 시범인증프로그램 수행 승인 |
2002.1.15
|
미국 QuEST Forum으로부터 TL 9000 인정기관으로 지정 |
2003.1 현재
|
7개 인증기관 인정 [ KPC-QA, KFQ, KSA, KMAQA,
K-QA, SMICC, KT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