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폼 비즈컨텐츠 계약서작성과 사례 계약관계의해소
  비즈폼 계약서작성과 사례
비즈폼 계약의 기초지식
비즈폼 계약의 종류
비즈폼 계약의 성립
비즈폼 계약서 작성실무
비즈폼 물권계약
비즈폼 채권계약
비즈폼 전형계약
비즈폼 비전형특수계약
비즈폼 상사계약
비즈폼 회사관련계약
비즈폼 계약관계의 변형
비즈폼 계약관계의 해소
  비즈폼 가압류와 가처분
  비즈폼 소장의 작성과 사례
  비즈폼 비즈니스 법률실무
  비즈폼 채권회수 법률실무
  비즈폼 법률서식 작성/활용
  비즈폼 주식회사 만들기
  비즈폼 하우라이팅
  비즈폼 비즈스터디
  비즈폼 쉽게 배우는 회계
  비즈폼 생활법률 사례모음
  비즈폼 연말정산
  비즈폼 세무달력


1. 계약의 해제와 해제계약 9. 채권자취소권이란?
2. 계약해제의 성질과 종류 10. 채권은 변제함으로써 운명이 끝난다!
3. 계약해제와 해지·취소·철회의 구별

11. 충당이란?

4. 실권약관과 계약의 해제

12. 대위변제란?

5. 계약해제의 효과 13. 공탁이란?
6. 원상회복의무와 부당이득반환의 관계

14. 상계는 언제 할 수 있는가?

7. 계약의 해지

15. 경개란 무엇인가?

8. 채권자대위권이란? 16. 면제와 혼동

1. 실권약관이란?
실권약관은 넓은 의미로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을 조건으로 하여 해제권을 보류하는 특약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 실권약관은 채무불이행의 경우에 채권자 쪽의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더라도 당연히 계약의 효력을 잃게 하고 채무자의 계약상 권리를 상실시키는 취지의 약관을 말한다.

예컨대, 월부판매에 있어서 매수인이 1회라도 대금지급을 지체하면 계약은 당연히 효력을 잃고 매수인은 목적물에 대한 권리를 잃으나 매도인은 이미 지급받은 대금을 반환할 필요가 없다는 약관은 그 예이다. 이러한 약관에서는 해제권의 유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을 해제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행위가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실권약관은 조건이 되는 사실이 발생하면 계약은 당연히 효력을 잃고 상대방에 대한 해제의 의사표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해제와 다르다.

2. 실권약관의 효력
위와 같은 실권약관이 반드시 무효인 것은 아니나 당연히 계약의 효력이 소멸하는 점에서 권리를 잃는 경제적 지위가 약한 채무자에게는 매우 불리한 제도이다.

만일에 그 불리한 정도가 매우 심하면 실권약관 그 자체가 사회질서에 위반하는 것으로서 무효로 된다. 그러나 불리한 정도가 그렇게 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러한 약관을 실권약관이라고 해석하지 않고서 단순한 해제권을 보류한 특약으로 해석하여 해제의 의사표시는 필요하다. 판례도(대법원 1982. 4. 27. 선고 80다851 판결 ; 대법원 1989. 7. 25. 선고, 88다카28891 판결) 부동산매매에 있어서 매수인이 계약을 위약할 때에는 '계약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는 약정은 일종의 해제권 유보조항에 지나지 않는다고 판시하고 있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