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활동이 본궤도에 올라 성장할수록 그만큼 자금의 수요가 커진다. 기업의 자금조달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타인자본에 의한 자본조달 즉 간접금융과 자기자본에 의한 조달 즉 직접금융으로 분류할 수 있다.
타인에 의한 자본조달은 개별적인 금전소비대차계약에 의한 차입과 사채발행을 통한 자금조달로 분류할 수
있고, 자기자본에 의한 조달은 신주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간접금융은 다시 정부 각 부처에서 실시중인 정책금융으로부터의 조달과 은행등 일반금융으로부터의 조달,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의 사채발행을 통한 자금조달로 구분된다. 사채중 전환사채, 신주 인수권부 사채는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효과가 크다.
직접금융은 일반투자자를 주주로 끌어들이는 방법을 통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직접금융은 다시 신주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과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거래소시장(증권거래소,
KOSDAQ)에 기업을 공개하여 대규모 증자자금을 조달하는 방법과 해외 벤처산업계에서 유행중인 MBO,
MBI, 트레이드 세일즈(Trade Sales), Buy-Back, M&A를 통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분류된다.
신주발행
주식회사는 기존 주주 배정 또는 제 3자배정을 통하여 신주를 발행 회사의 자본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신주의 발행에는 보통의 신주발행과 특수한 신주의 발행으로 구분된다. 보통의 신주발행이란 회사의 설립후
기업경영 단계에서 회사의 자금조달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회사는 보통의 신주발행을
통하여 회사의 재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두고 일반적으로 유상증자라 한다.
그러나, 자산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특수한 신주의 발행으로는 전환사채의 전환에 의한 신주발행과 신주인수권부사채권자의
청구에 의한 신주발행이 있다. 이 밖에도 자본감소를 위한 신주발행, 주식배당에 의한 신주발행, 준비금·재산재평가적립금의
자본전입에 의한 신주발행 및 합병에 의한 신주발행 등이 특수한 신주발행의 종류에 해당된다.
보통의 신주발행은 기업의 자산증가와 자본의 증가를 수반하나, 특수한 사채의 발행은 자산의 변동이 없으며
자본의 변동이 없거나 감소가 뒤따른 경우이다. 보통 신주의 발행시 이사회에서 결의하여야 하나 특수한
사채의 발행결정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KOSDAQ등록(IPO)
기업을 KOSDAQ시장에 신규로 등록(Initial Public Offreings)하는 경우에는 주식의
유동성이 부여되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조달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대중으로부터 주식을
공모하여 증자할 수 있다.
또한, 비상장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 양도차익에 대하여 과세되나, 코스닥거래시장에 등록된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그 매매차익에 대하여 양도소득세가 비과세 될 뿐만아니라 등록기업은 사회적 신용이 향상되고 , 널리
PR이되는 효과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