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급쟁이들의 세테크 연말정산
2003년부터 달라지는 연말정산
연말정산 제출서류
맞벌이부부의 연말정산방법
연말정산 체크포인트
연말정산연말정산의 개요
연말정산근로소득
연말정산소득공제
소득공제 체계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기본공제개요
  본인공제
  배우자공제
  부양가족공제
  추가공제개요
  경로우대자공제
  장애인공제
  부녀자공제
  6세 이하 자녀
양육비공제
  추가공제 계산사례
  소수공제자 추가공제
특별공제
  특별공제 개요
  보험료공제
  의료비공제
  교육비공제
  주택자금공제 개요
  주택마련저축공제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공제
  주택취득차입금 원리금상환액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공제
  기부금공제개요
  전액공제기부금
  특례기부금
  지정기부금
  표준공제
  맞벌이 부부의 소득공제 참고사항
연금관련소득공제
  연금관련소득공제개요
  연금보험료소득공제
  개인연금저축소득공제
  연금저축 소득공제
기타소득공제
  기타소득공제 개요
  투자조합출자 등 소득공제
  우리사주출연소득공제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연말정산세액공제 및 감면
연말정산농어촌특별세
연말정산연말정산 마무리
연말정산사업소득세 연말정산
연말정산소득세 확정신고 특례
연말정산징수 또는 환급방법
연말정산원천징수영수증의
교부 및 지급보서 제출
연말정산사업소득 지급조서
작성요령
대한민국 국세청
한국납세자연맹
  비즈폼 비즈컨텐츠 연말정산  소득공제

 

연금저축 소득공제(조특법86의2)

- 근로자가 저축불입계약기간 만료후 연금형태로 지급받는 저축에 가입하는 경우 당해연도의 불입액과 240만원 중 적은 금액을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 이는 2001.1.1이후 연금저축에 가입분부터 적용하며, 5년이내 해지시 해지가산세를 부과하며, 해지시 일시에 수령하는 금액은 기타소득으로 과세된다.

 

 

◑ 연금저축의 조세특례 내용

 

소득공제금액 및 한도액

  ※ 소득공제 금액 =  ①, ② 중 적은 금액

      ① 당해연도 저축불입액

      ② 240만원

※ 개인연금저축은 연간 72만원만(불입금액 기준으로는 180만원)만 공제가능 하였으나, 연금저축은 공제금액이 240만원까지 상향되었다.(최대 연간 1,200만원까지 불입가능하나 소득공제금액은 연간 240만원까지 임)

※ 불입후 연금으로 지급 받는 경우 이자소득은 비과세한다.

 

 

공제대상 범위(조특령80의2 ①)

- 다음의 요건을 갖춘 저축

ㆍ 금융상품 : 개인연금저축상품과 동일 + 증권투자회사의 연금저축도 포함

ㆍ 저축기간 : 불입기간 10년 이상일 것

ㆍ 가입자격 ; 만 18세 이상의 거주자

ㆍ 저축한도 : 분기마다 3백만원 범위안에서 불입할 것

ㆍ 지급조건 : 불입계약기간 만료 후, 55세 이후부터 5년 이상 연금으로 지급받는 저축일 것

ㆍ 추징요건 : 5년 이내 중도해지시(불입금액 누계액의 5%를 해지가산세로 부과)

- 공제대상 가입자

ㆍ 거주자(사업소득·부동산소득·산림소득 등 종합소득이 있는 모든 개인은 공제 가능)

ㆍ 가입당시부터 위탁자(가입자)와 수탁자(수령자)가 동일해야 한다.
(타인을 위한 타인 신탁은 공제 불가)

 

소득공제 신청

- 소득공제를 받고자 하는 자는 『연금저축납입증명서』(조특법 규칙 별지58호의2)를 세무서장·원천징수의무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당해 증명서는 연도말 현재의 저축불입액을 증명할 수 있는 통장사본으로 갈음할 수 있다.

 

 

◑ 중도해약 세액추징

 

추징요건

소득공제 받은 자가 가입일로부터 5년 이내에 중도해약

(다른 금융기관의 개인연금저축으로 계좌이체 하는 경우는 중도해약으로 보지 않음)

 

해지가산세 추징

- 해지가산세

해지가산세 = ①, ② 중 적은 금액

      ① 중도해약일까지 매년 저축불입액(매년 240만원 한도) 누계액 × 5 %

          ※ ① 산식의 연간 최대 해지가산세 금액은 12만원이 됨

      ② 계약의 해지로 인하여 연금저축가입자가 지급받는 환급금

- 연금저축소득공제의 경우 소득공제를 받지 아니하였더라도 추징된다.

- 5년 이내 해지하여 받은 일시해지금은 기타소득으로 과세함과 동시에 해지가산세 추징하며, 불입계약만료 후 연금 외의 형태로 받는 금액은 기타소득으로만 과세(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의 기타소득란에 기재하여 납부하여야 한다)

 

추징제외 사유

사망·해외이주·기타 대통령령(조특령 80의2 ④ : 천재지변, 저축자의 퇴직 등)이 정하는 사유로 해지하는 경우
(이 경우에도 해지가산세는 추징하지 않으나, 연금외의 형태로 받는 금액에 대한 기타소득세는 과세된다)

 

원천징수 불이행 가산세

- 연금저축취급기관은 해지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10일까지 해지가산세를 납부해야 한다.

- 기한내에 납부하지 아니하거나 미달 납부한 경우 저축취급기관에 10%의 가산세 부과한다.

 

 

◑ 관련 예규

 

연금저축 중도 해지시 과세방법(재소득46073-34, 2001.2.15)

연금저축 불입완료후 일정기간 연금수령 중 중도해지해 일시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연금수령기간 5년 여부에 관계없이 기 지급된 연금은 연금소득으로, 일시금은 기타소득으로 과세됨

 

연금 지연수령에 따른 대가의 소득구분(재소득46073-34, 2001.2.15)

연금지연수령시 지연수령 기간동안 발생한 신탁이익·지급의제 처리된 연금을 수령하는 경우, 이자소득이 아닌 연금소득으로 과세함

 

연금저축 해지가산세의 세목(법인46012-328, 2001.2.9)

연금저축가입자에게 부과하는 해지가산세의 세목은 기타소득세임

 

 

◑ 상담사례

 

올해 가입한 연금저축을 중도 해지했는데 소득공제받지 아니한 올해 불입액에 대해서도 기타소득 및 해지가산세가 징수되는 것인지?

조세특례제한법 제86조의 2에 규정된 연금저축의 적립기간 중 중도해지하는 경우, 당해연도 불입분도 과세대상 기타소득에 산입되며, 당해연도 불입금액을 당해연도말에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것임

또한, 중도해지시 당해연도 불입액은 해지가산세 부과대상에 포함되는 것임(해지가산세는 기타소득의 가산세로 처리하고 주민세도 부과되는 것임)(재소득46013-34, 2001.2.15)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